◎비망록집◎

신경민, 사실상 MBC 퇴직…고별사 잔잔한 감동…누리꾼 “고별사가 명문”

형광등이 2010. 9. 29. 14:15
신경민, 사실상 MBC 퇴직…고별사 잔잔한 감동…누리꾼 “고별사가 명문”
[프라임경제] 2010년 09월 29일(수)

▲ 방송화면 캡쳐
[프라임경제] 신경민 아나운서가 오는 10월부터 안식년에 들어가면서 사실상 기자 30년을 마감하는 것과 관련, 고별사를 남겼다. 벌써부터 온라인에 화제가 되며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


신 아나운서는 28일 “MBC와 법적 의무, 책임의 끈은 1년 남았지만 사실상 이것으로 '나의 MBC'를 클로징한다”며 “모두에게 행운을 빈다”고 밝혔다.


신 아나운서는 지난 28일 MBC 보도본부 게시판에 '작별인사'라는 글을 남기며 “능력 있고 엄청나게 좋은 ‘captain, oh my captain’은 아니더라도 그저 그렇고 그랬던 선배가 아니었기를 빌면서 저 역시 불확실한 미래로 들어간다”며 이 같이 밝혔다.


신 아나운서는 그러면서 “다만 언론과 방송, 한국 사회의 미래에 대한 관심을 끄지는 못하겠지요”라며 “시간이 허락하는 대로 개인적 작별을 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들어 볼 테니 부디 함께 하도록 하자”고 전했다.


그는 이 글에서 “기대하지 않았던 메인 앵커 발령과 387일 만의 교체로 명예와 명성을 얻었지만 제 활동과 관심은 취재와 편집, 방송 체제와 한국 사회의 자유와 민주에 집중했다”며 “원칙을 지녀가기 험난한 시대에 공적, 사적 고초를 겪으면서 인간과 방송 기자로서의 자존심과 작은 원칙 몇 가지에 지탱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런 원칙을 지녀가면서 대과없이 마무리할 수 있었던 점은 행운이었고 운명의 나침반과 함께 회사와 선후배들의 도움에 의지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우리 인생이 항상 그러했듯이 한국 사회, 언론, 방송, MBC의 미래는 불확실하다”라며 “언론의 미래는 'content와 contact'의 성패에 달려있다는 분석에 공감한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면서 “올바름이 항상 세속적으로 성공할 수 없다는 '현실적 진실'은 분명하다”며 “70, 80년대를 몸으로 겪어온 세대로서 말하자면, 숨 쉬는 현실이 매우 불확실할 때에는 원칙을 지키면서 언론인의 기본 자질을 키워나가는 방법 이외에 뾰쪽한 묘수가 없다”고 진단했다.


이에 대해 누리꾼들은 “고별사가 명문” “오늘 아침의 명언”이라며 신 아나운서가 이 시대의 진정한 언론인이라는 찬사와 박수를 보내고 있다.

  최서준 기자/bstaiji@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