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례문(崇禮門)은 조선시대 서울을 둘러쌌던 성곽의 정문이다. 흔히 남대문(南大門)이라고도 부른다.
1396년(태조 5년)에 창건되었다.[1] 1447년(세종 29년)과 1479년(성종 10년) 고쳐 지었다.
숭례문의 현판은 《지봉유설》에 따르면 양녕대군이 썼다고 알려져 있으나 현판에 관해 이설이 많다.
서울 4대문 및 보신각(普信閣)의 이름은 오행사상을 따라 지어졌는데,
이런 명칭은 인(仁: 동), 의(義: 서), 례(禮: 남), 지(智: 북), 신(信: 중앙)의 5덕(五德)을 표현한 것이었으며,
숭례문의 "례"는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
2006년 3월 3일, 숭례문이 도로에 의해 고립되어 버리는 것을 막고 시민들에게 문화재를
가까이 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에서 숭례문의 중앙통로를 일반인에게 개방하였다.
2008년 2월 10일 8시 40분 전후 방화범 채종기의 방화 화재로 인해 불타기 시작해 약 5시간 후인
11일 오전 2시경 목조 건물 일부와 석축 기반을 남기고 2층 누각이 모두 붕괴되어 소실되었다.
현재는 서울 중구청에서 외부인의 접근을 통제하기 위한 가림막이 설치되었고,
기온이나 강수, 바람 등 기상요인에 의한 추가 붕괴 방지를 위하여 덮개를 씌운 상태이다.
문화재청에서는 소실된 숭례문을 원형에 가깝게 복구할 계획을 발표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