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한 명 키우는데 2억6000만원 든다
보건사회연구원 김승권 선임연구위원은
'한국인의 자녀양육 책임한계와 양육비 지출 실태'에서 2009년 기준으로 출생 후 대학졸업까지 자녀 한명에게
지출되는 총 양육비는 2억6204만4000원으로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영아기 3년간 지출되는 양육비는 2466만원,
유아기 3년간 양육비는 2937만6000원으로 산출됐다.
초등학교 학생에게 6년간 지출되는 양육비 6300만원,
중학교 학생 3535만2000원, 고등학교 학생 4154만4000원으로 나타났다.
4년제 대학생에게 4년간 지출되는 양육비는 6811만2000원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러한 양육비는 초·중·고등학교와 대학교를 다니는 동안 휴학, 재수, 어학연수 등을 고려하지 않고
산출된 것으로 이를 포함하면 더 많은 양육비를 지출하게 될 것이라고 김 위원은 설명했다.
자녀 2명을 양육하는 데에는 약 5억2408만원이 들고
자녀 3명을 양육하는데 7억8613만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자녀양육비도 늘어났다.
월평균 자녀양육비는
영아 68만5000원,
유아 81만6000원,
초등학생 87만5000원,
중학생 98만2000원,
고등학생 115만4000원,
대학생 141만 9000원으로 나타났다.
또 출생 직후 3년간은
식료품비가 월평균 12만2000원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러나 초·중·고 기간에는 사교육비가 각각
28만6000원,
34만1000원,
33만5000원,
대학생은 공교육비가 54만1000원으로 교육비 지출이 압도적이었다.
2009년 기준으로 휴대폰과 인터넷 이용료 등이 포함된
교통통신비는 매월 11만2000원으로 전체 양육비의 11%를 차지했다.
"한국부모들은 자녀양육에 대해 본인 스스로 너무 과중한 책임을 지고 있으며 이는 양육부담을 크게 하고 저출산의 원인이 되고 있다"며
"자녀양육 지원에 대한 국가의존적 태도는 더욱 증대될 것이며 이러한 결과는 정부의 재정부담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은 "부모의 노후생활을 감안한 자녀양육 게획을 수립하고
외국과 같이 대학 과정부터 자녀 스스로 책임지는 사회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면서
"평생교육체계를 더욱 강화해 스스로 학비를 마련해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저리의 대학 학자금 융자제도를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shoon@newsis.com
<저작권자ⓒ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수윤(기자)